Jido
신의 정의, "전지전능하신 창조주시여" 본문
종교는 신을 말할 때 흔히 이런 말을 자주 쓴다.
"전지전능한 창조주", 그들은 신을 그렇게 말한다.
그 외 딱히 신이란 것을 정의할 단어도 없는 게 사실이기는 하다.
신이란 단어는 알고 있지만, 막상 설명을 한다 하면 딱히 다른 표현이 떠오르진 않는다.
하지만 엄밀히 말하면,
전지, 전능, 창조주라는 세 단어는 어떤 하나를 의미하진 않는다.
각자의 의미가 다르고 영역이 다르기 때문이다.
모든 것을 아는 전지가 있을 수 있고,
행위의 결과는 알 수 없으나 모든 것을 행할 수 있는 전능이 있을 수 있고,
세상의 모두 각각의 피조물에 다수의 창조주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.
가령 내가 라면을 끓이면 나는 라면의 창조주인가? 그렇게 라면 창조주라면 신인가?
그렇다면 라면 공장은 누구이며,
밀을 재배한 농부는 누구이며,
그 라면을 직접 제조하진 않으나 그 맛과 조합을 개발한 라면 연구소는 또 누구일까?
혹여 주방에서 젓가락을 든 나도 어떤 의미론 1~2%의 지분을 차지하는 신이라 할 수 있을까?
생각이 뻗기 시작하면 신이란 단어가 상당히 궁색해진다.
창조주뿐만 아니라 다른 전지나 전능의 의미 역시 한계를 정하면 궁색해짐은 피할 수 없다.
알지만 행할 수 없고 모든 것을 행할 수 있지만 예측할 수 없다면
신이란 단어가 정확히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그 단어에 적당한지 고민에 빠지게 된다.
그래서 종교는 그 셋을 모두 합치기로 하였다.
그래서 "전지전능한 창조주"인 것이다.
반론의 여지를 두지 않기 위함이다.
즉 신이란 단어를 만들고 궁색하지 않기 위해 모든 절대적인 의미를 다 합친 것이다.
상대를 굴복시키기 위해 권위 즉 힘을 덧댄 것이라 볼 수도 있다.
만약 무능한 신이 있다면, 누가 그를 신이라 부르겠는가.
그렇게 본다면 신의 의미는 정확히는 전지, 전능 혹은 창조주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.
'신은 부정할 수 없는 존재다'라 함이 맞지 않나 싶다.
어차피 부정한다면 그 부정의 근거에 대한 반론을 신의 개념에 합칠 테니 말이다.
'겨겨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월세 100만 원을 둘로 나눌 때, 10만 원을 더 부담하면? (0) | 2025.03.27 |
---|---|
오토바이 소음 문제가 심해진 이유 (0) | 2025.03.16 |
김치와 라면 (0) | 2025.03.07 |
종이 상자에 동전 40개 퀴즈, 문제가 만들어진 원리 (0) | 2025.03.02 |
스트리머의 경품 제공, 무엇이 문제일까? (0) | 2025.02.28 |